2025년 3월 25일
[GA4]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구분해서 보고서 쓰기
💡 이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측정기준과 측정항목 개념 및 종류
스스로 구별해 보기
측정기준 과 측정항목 개념 및 종류
GA4에서 이벤트를 수집하고 보고서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측정기준(Dimension)과 측정항목(Metrics)을 확인해야 하는 것인데요.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GA4 보고서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들입니다.
그렇다면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각각 어떤 요소일까요?
측정기준 (Dimension) 🤔
인구통계(연령, 성별), 기기/플랫폼(브라우저, 운영 체제) 등 데이터를 구분하는 기준을 뜻합니다.

측정항목 (Metrics) 🧐
참여율, 이탈률, 세션수, 전환수, 조회수 등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 값을 나타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공식 문서에서 더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 이미지를 보면 조금 더 이해가 쉬우실 거에요.

위의 지표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데모 계정(Google Merchandise Shop) 데이터인데요. 보고서 중 '참여도 > 전환수'를 클릭해 나오는 자료입니다. 위 이미지에서는 '이벤트'가 측정기준(Dimension)이, 전환/사용자/수익이 측정항목(Metrics)이 되는 것입니다.
스스로 구별해 보기
그럼 이번에는 한번 직접 생각해 볼까요?

위 데이터에서는 어떤 부분이 측정기준이고 어느 부분이 측정항목일까요?
네, 맞습니다. 바로 '국가'가 [측정기준], 사용자, 세션수, 참여율 등 가로 행이 [측정항목]입니다.
이처럼 GA4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고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개념에 대해 이해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되는 GA4 측정기준과 측정항목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Google Analytics 고객센터: [GA4] 애널리틱스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