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인사이트

인사이트

2025년 1월 1일

정말 필요한 데이터만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것부터!

Exclude internal traffic in GA4 report
Exclude internal traffic in GA4 report

💡 이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1. GA4 내부 트래픽 정의

  2. 보고서 필터 적용하기

GA4 세팅, GTM 개설 및 연동을 모두 마쳤다면 추가적으로 해야 할 단계가 있어요. 바로 내부 트래픽을 제외하는 것인데요. 나에게 정말 필요한 데이터, 가치 있는 데이터만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내부 데이터를 제외시켜 주시는 게 좋아요. 내부 데이터를 제외하지 않으면 나 혹은 회사의 다른 직원의 데이터가 고객의 데이터와 구별되지 않고 통합되어 수집되기 때문이에요.


GA4 내부 트래픽 정의하기

  1. 데이터 필터 보기

[관리 메뉴] → [속성: 데이터 설정] → [데이터 필터]를 보면, 기본적으로 내부 트래픽 필터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Internal Traffic 이라고 되어있는 필터를 클릭하면 데이터 필터를 수정할 수 있는 창이 뜨게 돼요.



  1. 새 필더 만들기

1번 단계에서 [필터 만들기]를 클릭한 후 새 필터를 만들어 볼게요. ‘데이터 필드 만들기’ 라는 창이 뜨면 먼저 데이터 필터 이름을 입력해 주세요. 


이름은 동일한 속성의 데이터 필터 간에 고유해야 하며, 영문 기준 최대 40자까지 작성할 수 있어요. 필터 세부정보, 매개변수 값, 필터 상태 칸을 모두 채워줍니다.


  1. 데이터 스트림 메뉴 들어가기

내부 트래픽 데이터 필터를 새롭게 생성했으면, 이제 실제로 제외시킬 트래픽을 입력하는 식별 단계로 넘어갈 거예요. 이 작업은  [관리 메뉴] → [속성:데이터 스트림]에서 진행돼요.



데이터 스트림 정보가 나오면 그 중 ‘웹스트림’ 항목을 클릭해 주세요.(앱 사용자의 내부 트래픽은 제외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해당 계정에서 생성한 웹 스트림 데이터들이 나올 거예요. 각각 스트림 이름, 스트림 URL, 스트림 ID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제 내부 트래픽을 제외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아까 계정을 개설할 때와 추적 코드를 복사하러 갈 때 보았던 ‘웹 스트림 세부정보’ 라는 창이 뜰 거예요. 스크롤을 내려 [Google 태그] → [태그 설정 구성]에 들어가 주세요.



  1. 태그 설정 자세히 보기

[태그 설정 구성]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Google 태그]라는 창이 뜰 텐데요. 스크롤을 내려 [설정] 부분의 ‘자세히 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1. 내부 트래픽 정의 클릭하기

추가 기능이 펼쳐지면 그 중  [내부 트래픽 정의] 기능을 클릭합니다.



  1. 내부 트래픽 규칙 입력하기

[내부 트래픽 정의]를 클릭하면 [내부 트래픽 규칙]이라는 창이 뜹니다. 우측 상단의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내부 트래픽 규칙 만들기 창이 뜨면 그 안에 있는 정보들을 입력해 주세요. 



‘값’에는 트래픽을 식별하는 주소 또는 주소 범위를 입력합니다. IPv4 또는 IPv6 주소를 입력할 수 있어요. ‘내 IP 주소 알아보기’를 클릭하여 공개 IP 주소를 찾을 수도 있어요.


IP 주소까지 정상적으로 입력했다면 내부 트래픽 필터 설정이 끝나게 돼요. 이처럼 IP 주소 또는 IP 주소 범위에서 웹사이트 활동을 제외하여 해당 IP 주소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가 보고서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요. 내부 트래픽을 식별하고 데이터 필터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기능은 속성 수준에서 편집자의 역할을 부여받은 자만 진행할 수 있어요. 또한, 생성된 데이터 필터는 적용되는 데까지 24~36시간이 걸릴 수 있어요.


보고서 필터 적용하기

데이터 필터를 적용하면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이 영구적이에요. 예를 들어 제외 데이터 필터를 적용하면 제외된 데이터는 절대 처리되지 않으며 애널리틱스에서 사용할 수 없게 돼요. 따라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제외하지 않고 특정 보고서에서 숨기려면 ‘보고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보고서 필터를 사용하면 보고서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표시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숨길 수 있는데요. 에 들어가서 차트 위쪽의 ‘필터 추가’ 버튼을 통해 필터를 추가할 수 있어요.



필터를 추가하게 되면 보고서의 차트와 표가 모두 업데이트 돼요. 이러한 필터는 세부정보 보고서에만 적용할 수 있어요.


마치며

이렇게 오늘은 GA4 내부 트래픽 제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내부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고객 중심의 가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 전에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단계예요. 오늘 콘텐츠에서 학습한 내용을 적용해 더욱 신뢰도있는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참고자료] Google Analytics 고객센터:  내부 트래픽 필터링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과 AI 활용에 관한 최신 소식

뉴스레터 구독 시, 텀타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동의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러가기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과 AI 활용에 관한 최신 소식

뉴스레터 구독 시, 텀타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동의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러가기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과 AI 활용에 관한 최신 소식

뉴스레터 구독 시, 텀타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동의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러가기

tumta

주식회사 텀타

대표: 박세희 | 이메일: info@tumta.io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31길 12, 2층 31호

© 2025 Tumta Corp. All Rights Reserved.

tumta

주식회사 텀타

대표: 박세희 | 이메일: info@tumta.io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31길 12, 2층 31호

© 2025 Tumta Corp. All Rights Reserved.

tumta

주식회사 텀타

대표: 박세희 | 이메일: info@tumta.io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31길 12, 2층 31호

© 2025 Tumta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