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6일
GA4 자동 기능만 쓰면 손해? 유튜브 조회 데이터 이렇게 추적하세요!
💡 이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구글 태그매니저 유튜브 조회 이벤트 설정 장점
GTM 유튜브 조회 이벤트 설정 따라하기
유튜브 조회 이벤트 활용 방법
오늘은 GTM을 업무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이 블로그를 보고 계신 분들은 GTM(Google Tag Manager)에 대해 이미 알고 계실 것 같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GTM은 구글이 제공하는 태그 관리 도구예요. 웹사이트와 앱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추적하고 마케팅 캠페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죠. 코드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도 다양한 추적 코드를 손쉽게 추가하고 관리할 수 있어요.
구글 태그매니저 유튜브 조회 이벤트 설정 장점
🤔 그냥 GA4에서 자동으로 설정하면 안 되나요?
구글 애널리틱스를 잘 아시는 분들이라면 이런 의문이 들 수 있어요. 물론 GA4의 '향상된 측정' 기능으로도 기본적인 동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 하지만 GTM으로 설정할 때 얻을 수 있는 특별한 장점들이 있답니다.
특정 조건(페이지, 사용자 행동 등)을 기반으로 정교한 이벤트 설정 가능
유튜브 동영상 진행률(25%, 50%등)과 같은 상세 트리거 설정 가능
기본 매개변수 외에도 맞춤 매개변수 추가 가능
이벤트명과 발생 조건을 유연하게 정의해 데이터 분석 효율성 극대화
이러한 이유들로 GTM은 GA4만으로는 부족한 맞춤형 데이터 분석에 탁월한 대안이 되곤 해요.
GTM 유튜브 조회 이벤트 설정 따라하기
이제 GTM에서 유튜브 조회 이벤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볼게요.
(1) ‘YouTube 동영상’ 트리거 설정

먼저 GTM에 접속해 새로운 트리거를 만들어 볼게요.
트리거 유형을 'YouTube 동영상'으로 선택하고 진행률 비율을 입력해 주세요. 저는 10, 25, 50, 75, 90%로 설정했어요. 이 비율은 사용자가 유튜브 동영상을 어느 정도까지 시청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예요. 상세한 시청 행동 분석이 필요하다면 예시처럼 세밀하게, 간단한 추적만 필요하다면 좀 더 넓게 설정해도 좋아요.
최하단의 '이벤트가 발생하고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이 트리거 실행' 항목은 앞서 설명한 GTM의 장점 중 하나인 '추가 조건' 설정이에요. 저는 특정 페이지의 유튜브 동영상 재생만 추적하고 싶어서 페이지 경로를 조건으로 추가했어요.
(2) 매개변수 활성화
구글 태그매니저의 '변수' 항목으로 이동해 기본 제공 변수 '구성'을 클릭한 다음, 동영상 관련 변수들을 모두 활성화해 주세요.

(3) ‘GTM 태그’ 새로 만들기
구글 태그매니저 '태그' 항목에서 태그 유형을 'GA4 이벤트'로 선택하고 측정 ID를 입력해 주세요.
그 다음, 이벤트 이름을 'video_{{Video Status}}'로 설정하고, 이벤트 매개변수와 트리거는 이전 단계에서 설정한 것으로 선택해 주세요.
* 이벤트 이름에 매개변수를 넣는 이유는 영상 시청 상태에 따라 이벤트명을 구분하기 위해서예요. (예: video_start는 시청 시작, video_progress는 설정한 진행률 도달 시점을 나타냅니다.)

(4) GTM ‘미리보기’를 통해 이벤트 발생 확인
태그 설정을 완료했다면 이벤트가 제대로 발생하는지,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집되는지 확인해야 해요.
이전 단계에서 이벤트명에 {{Video Status}} 매개변수를 사용했는데요. 이 매개변수를 포함하면 상태값에 따라 이벤트명이 자동으로 변경돼요. 이미지를 보시면 시점에 따라 video_complete, video_progress, video_start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주의: GTM에서 유튜브 동영상 이벤트를 설정했다면, GA4 향상된 측정 ‘동영상에의 호응’ 항목은 비활성 하셔야 해요. 두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면 중복 이벤트가 발생해 데이터에 혼동을 줄 수 있어요.

유튜브 조회 이벤트 활용 방법
오늘은 GTM을 활용해 유튜브 동영상 조회 이벤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유튜브 동영상의 진행률과 특정 페이지에서의 이벤트 발생을 세밀하게 추적하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방문자들이 동영상을 끝까지 시청하지 않고 이탈한다면 콘텐츠의 품질이나 배치 방식을 재점검할 수 있죠. 반대로 특정 구간에서 이탈률이 낮다면, 그 구간의 강점을 다른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어요.
이런 데이터는 단순히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마케팅 의사결정과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어요.
비즈니스의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가기 위해 오늘 배운 설정 방법을 바로 적용해 보세요! GTM의 활용도를 높이고, 데이터 중심의 마케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을 거예요. 오늘 학습한 내용도 지난 콘텐츠들과 마찬가지로 GA4 패키지 강의를 통해 영상과 함께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놓치지 말고 참고해 보세요.
여러분의 비즈니스 성장에 GTM이 강력한 도구가 되길 바랍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도 더 유용한 정보로 찾아뵐게요!☺️